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금 투자 방법 총정리! 골드바·금통장·금ETF로 금테크 시작해볼까?

by 굳럭-1 2025. 4. 1.
반응형

2025년 2월, 금 한 돈(3.75g) 가격이 무려 60만 3,000원까지 치솟았다는 소식, 다들 보셨나요? 저도 그 기사 보고 “어? 나도 금 좀 사볼까?” 생각하게 됐어요. 주변에서도 금 투자에 관심 가진 사람이 눈에 띄게 늘었더라고요.

하지만 막상 시작하려니 골드바, 금통장, ETF, KRX금시장... 용어도 많고 뭐가 뭔지 헷갈리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직접 하나하나 공부해봤고, 그 내용을 정리해서 공유드려요. 혹시 저처럼 금 투자 처음 접하시는 분이라면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


금 투자, 어떻게 시작하나요?

금 투자에는 크게 직접 투자간접 투자가 있어요.

  • 직접 투자는 말 그대로 실제 금(골드바 등)을 사는 거고,
  • 간접 투자는 금 가격에 따라 수익이 나는 상품에 투자하는 거예요.

1. 직접 투자: 골드바 구입

가장 직관적인 방법이죠. 진짜 금덩어리(골드바)를 사는 거예요.
은행, 금은방, 증권사에서 구매할 수 있고, 10g부터 1kg까지 다양하게 팔아요.

✅ 참고할 점은…

  • 부가세 10%는 무조건 붙어요
  • 실물 보관이 필요하니 도난·보안 유의
  • 보유세나 상속세는 따로 없어요 (이건 꽤 매력적)

그런데 요즘은 수요가 워낙 많다 보니, 재고가 없어서 판매 중단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하네요.


2. 간접 투자: 실물 없이 금에 투자하는 법

“실물 금은 좀 부담된다…” 싶다면 간접 투자도 방법이에요.

💡 간접 투자 요약표

투자 방식 특징 장점 단점
KRX금시장 1g 단위 거래 세금 혜택 풍부 증권 계좌 필수
골드뱅킹 통장에 금 적립 소액으로 가능 예금자 보호 안됨
금 ETF 주식처럼 거래 편리한 매매 세금 이슈 존재

✔ KRX금시장

KRX금시장에서는 금을 주식처럼 1g 단위로 사고팔 수 있어요.
실제로 금을 받지는 않지만, 나중에 100g 이상 모으면 실물로 인출도 가능하대요. (단, 이때는 부가세 10% 붙어요)

무엇보다 가장 좋은 건 세금 혜택!

  • 양도세, 배당세 없음
  • 부가가치세, 관세 면제
  • 금융소득종합과세 비대상

단, 13개 증권사 중 하나에서 금 현물 계좌 개설해야 거래가 가능해요. (KB, NH, 미래에셋, 신한 등등)

✔ 골드뱅킹 (금 통장)

골드뱅킹은 금을 0.01g 단위로 적립하는 통장이에요.
실제로는 돈을 넣으면 그만큼 금을 사서 적립해주는 시스템이에요.

  • 소액으로 투자 가능 (진입장벽 낮음)
  • 현금 인출도 되고, 실물 금으로도 찾을 수 있어요 (단, 부가세+수수료 발생)
  • 하지만 예금자 보호 안 되고, 원금 보장도 없음

✔ 금 ETF

주식처럼 매매 가능한 **금 연동 펀드(ETF)**도 있어요.
요즘은 증권사 앱으로 클릭 몇 번이면 매수 가능하니까 진입이 정말 쉬워졌죠.

  • 국내 ETF: 배당소득세 부과
  • 해외 ETF: 양도소득세 + 배당소득세 적용

ETF는 세금 이슈가 조금 복잡해서, 매매 전에 세금 구조 꼭 체크해보세요!


금 투자 시 주의할 점 ✅

사람들이 흔히 “금은 무조건 안전해”라고 생각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아래 2가지는 꼭 챙기세요.

1. 금값은 수요와 환율에 따라 요동쳐요

예를 들어, 2025년 2월 15일 기준:

  • KRX 금 1g: 168,200원
  • 국제 금 시세: 135,000원 수준

국내 금이 무려 24% 더 비쌌어요.
이유는? 수요 급증 + 환율 상승 때문이에요.

👉 그래서 투자 타이밍 잡을 때, 환율도 같이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해요.

2. 세금 주의!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일 수 있어요

  • KRX금시장 수익은 세금 혜택 덕분에 종합과세 대상이 아니에요.
  • 하지만 골드뱅킹이나 금 ETF 수익은 종합과세 대상이에요.

👉 연간 금융소득이 2,000만 원 넘으면, 초과분에 대해 종합소득세를 내야 해요.


금 시세 앞으로 오를까? 말까?

요건 전문가들도 의견이 엇갈려요.

기관 전망치 이유
골드만삭스 온스당 3,100달러 정책 불확실성, 관세 변수
바클레이스 온스당 2,500달러 금리 인상 지속 예상

저는 개인적으로 장기 보유 관점에서 조금씩 분산 투자하려고요. 단기 수익보다는 인플레이션 방어 자산으로 보는 게 맞는 것 같아요.


마무리: 내게 맞는 금테크는?

사람마다 성향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투자 방식을 찾는 게 가장 중요해요.

  • “실물 자산이 좋아요!” 👉 골드바
  • “세금 절약하고 싶어요!” 👉 KRX금시장
  • “소액으로 가볍게 시작하고 싶어요” 👉 골드뱅킹
  • “주식처럼 쉽게 사고팔고 싶어요” 👉 금 ETF

💬 여러분은 어떤 금 투자 방식이 끌리세요?

저는 요즘 KRX금시장에 눈독 들이고 있어요.
증권사 앱에서 계좌만 만들면 되고, 세금도 괜찮고요. 무엇보다 ‘실물 인출’ 기능이 꽤 재밌더라고요. 나중에 100g 넘기면 한번 해보려구요 ㅎㅎ

혹시 이미 금 투자 중이신 분 있다면, 댓글로 팁 공유해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
앞으로도 금테크 정보 계속 업데이트해볼게요!

 

참고글

https://kokorang.com/%ea%b8%88-%ed%88%ac%ec%9e%90-%eb%b0%a9%eb%b2%95-%ec%b4%9d%ec%a0%95%eb%a6%ac-%ea%b3%a8%eb%93%9c%eb%b0%94%ea%b8%88%ed%86%b5%ec%9e%a5%ea%b8%88etf/

 

금 투자 방법 총정리! 골드바·금통장·금ETF로 시작하는 금테크 가이드 - 코코랑 블로그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지금, 안전자산으로 주목받는 금에 투자해보세요. 다양한 금 투자 방법과 주의사항을 정리해드립니다.

kokorang.com

 

반응형